대통령 경호처에서 전례 없는 경호관의 반발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경호처 차장 김성훈과 본부장 이광우에 대한 사퇴 요구가 담긴 연판장이 돌려지며, 하루 평균 200명이 서명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경호처 창설 62년 만에 처음 있는 일로, 내부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것을 반영합니다.
연판장에는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이 대통령의 신임을 잃었으며, 경호처를 사조직화하고 불법 행위를 자행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특히, 김 차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 과정에서 경찰에 대한 지시를 따르지 않아 대기 발령 조치된 간부에 대한 해임 제청을 받았습니다. 경호처 내부에서는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이 지난 1월부터 윤 전 대통령 체포 방해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직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 강한 반발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반발은 7일 간부회의 이후 본격화됐으며, 김 차장이 윤 전 대통령과 차기 대통령의 경호 조직을 자신이 맡겠다고 밝힌 것이 분노를 더욱 키웠습니다. 현재 연판장 서명자 수는 700여명에 달하며, 이들은 경호처의 비리와 불법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묻고 있습니다.
또한, 경찰은 김 차장에 대한 네 번째 구속 영장을 신청한 상태로, 이 사건은 대통령체포를 방해한 혐의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법원은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의 구속 영장을 기각했지만, 경찰은 여전히 이들이 비화폰 기록 삭제를 지시한 사실을 수사 중입니다. 이와 관련해 여러 외부 경로를 통해 기밀 사항이 유출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경호처의 내부 갈등과 대통령 권한 강화를 둘러싼 정치적 긴장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경호처의 신뢰 회복과 향후 수사가 어떻게 진행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